신한자산운용이 중국의 소비 패턴이 빠르게 변화하는 흐름 속에서 새롭게 성장하는 기업들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SOL 차이나 소비 트렌드(0131A0) ETF'를 오늘(25일) 상장했다.

이 ETF는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와 소비 주체의 세대교체, 콘텐츠 IP(지적재산권), 라이프스타일 산업의 급성장을 기반으로 한 ‘신소비’ 트렌드를 ETF 전략에 반영한 게 특징이다.

중국 소비 시장은 최근 뚜렷한 구조적 변화를 맞고 있다. 2010년대까지만 해도 고급술, 명품, 보석, 고급차 등 지위 중심 소비가 주류였지만, MZ세대의 부상과 함께 소비 기준은 취향 경험·개인만족·자기표현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됐다.

이러한 변화가 상품, 브랜드, 산업 전반의 성장 동력을 새롭게 재편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관련해 김정현 ETF사업총괄은 “중국 소비는 이제 마오타이의 시대에서 팝마트의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면서 "과거처럼 관계와 지위를 드러내기 보다는 즐기기, 공유하기, 수집하기와 같은 개인화된 소비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흐름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인구구조 변화, 소득 수준 향상, 도시화, 디지털 소비 생태계 확장 등이 결합된 본질적인 변화이며, 속도 또한 매우 빠르기 때문에 새로운 문화를 이끄는 기업을 선별하는 일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SOL 차이나 소비 트렌드 ETF'는 총 10개 종목으로 구성했다. 신소비 성장축을 ‘소장가치 소비’, ‘경험 소비’, ‘뉴 라이프스타일 소비’ 세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해 핵심 기업을 담았다.

주요 종목으로는 ‘라부부’ 등 자체 아트토이 IP(지적재산권)로 MZ세대 컬렉션 문화를 이끄는 팝마트(POP MART), 전통 금세공과 현대적 디자인을 결합해 젊은 층의 취향을 반영한 라오푸골드(LAOPU GOLD)가 있다.

또한 IP(지적재산권) 기반 굿즈, 체험 공간을 운영하는 스타샤인홀딩스, 중국 스포츠웨어 1위 기업 안타스포츠 등도 포함했다.

외에도 디피씨 대시(DPC Dash), 알리바바 픽쳐스, 미쉐(MIXUE Group) 등 다양한 신소비 성장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김 총괄은 “올해 중국 증시강세 속 신규 중국 ETF 대부분이 AI, 휴머노이드 등 혁신 기술 분야에 집중되고 있다”며 “SOL 차이나 소비 트렌드 ETF는 중국의 소비 구조 변화라는 새로운 투자 축에 주목해 시장의 빈틈을 채워줄 상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신소비 기업들은 내수 시장뿐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며 성장 영역을 넓히고 있어 이 상품을 통해 중국 소비의 새로운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브라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