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은록, ‘화가 김종학’ 통해 AI 시대 인간과 예술의 본질 탐구
AI 영화감독이자 미술평론가로 활동 중인 심은록은 최근 저서 ‘화가 김종학’을 통해 인간의 가치와 예술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AI 기술이 예술 현장에도 깊숙이 스며든 지금, 그는 “AGI나 ASI 시대가 도래했을 때 예술이 인간 고유의 가치를 어떻게 수호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그는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수년간 비평적 관점에서 글을 써 내려가는 작업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2023년 AI 영화 ‘AI 수로부인’을 공개했으며, 지난해에는 ‘AI 영화 제작론’ 등을 발표했다. 한편 최근에는 AI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듯한 저서 ‘화가 김종학’을 출간했다.
‘화가 김종학’에 대해 심은록은 “AI 기술 자체와는 무관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AI를 사용하는 인간 존재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화가 김종학’을 통해 “AI 시대에도 인간의 가치를 지켜낼 수 있는 예술의 시공간”을 자연 속에서 찾는다. 그는 김종학의 자연관을 동양미학에 근거한 ‘기운생동(氣韻生動)’과 ‘신기(神氣)’라는 두 가지 ‘기(氣)’의 개념으로 해석한다.
서양미술이 외형의 재현에 초점을 맞췄다면, 김종학의 회화는 생명력과 움직임, 즉 ‘기’를 화면에 담아내는 데 주력한다. 심은록에 따르면 김종학은 자신만의 현대적 준법(皴法)과 독창적인 색채를 구축했고, 그의 작품은 에너지를 포착해 담은 특별한 회화로 완성됐다.
김종학의 오랜 친구였던 윤명로와 이우환도 “김종학의 그림에는 신기(神氣)가 있다”라고 평가했다. 이는 작가의 내면에서 솟아나는 신기와 자연으로부터 발산되는 기가 서로 만나 이뤄낸 결과물이라고 심은록은 평했다.
그는 “김종학의 작업은 디지털 환영과 환각에 빠져드는 오늘날, 그와는 다른 차원의 자연과 우주에서 비롯된 창의력과 환상을 시각화하는 동시에 인간은 자연에 근거한 존재라는 사실을 일깨운다”라고 말했다.
‘화가 김종학’은 AI 기술을 전면에 다루지 않지만, 심은록의 말처럼 “AI와 인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책”이다.
한편 심은록은 기독교와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한 교회를 조명하는 다큐멘터리를 연말 완성을 목표로 제작 중이며, 이 외에도 심문섭, 이강소, 김정아 작가의 단행본과 전시 도록 평문 집필에 집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