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재단은 9일 서울시민청 태평홀에서 4대문안 차 없는 거리 도입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환경재단은 9일 서울시민청 태평홀에서 4대문안 차 없는 거리 도입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환경재단은 지난 9일 ‘서울 도심인 광화문에서 용산까지 차 없는 거리 실현 모색’을 주제로 ‘4대문안 차 없는 거리 도입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4대문안 차 없는 거리 추진위원회, 환경 및 도시 교통 전문가, 언론인, 시민들이 참여해 서울 도심을 차 없는 거리로 만들어 온실가스와 탄소발생량을 감축하고 보행중심 도시로의 발전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가장 먼저 정석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가 ‘자동차 도시에서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도시로’라는 주제로 발표하며 현재 우리나라의 횡단보도 부족, 위험하고 불편한 통학로와 골목길, 보도가 없는 국도와 지방도의 문제점을 들었다. 또 도로를 차량을 위한 관점이 아니라 보행, 만남, 소통을 위한 관점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용남 지속가능도시연구센터 소장은 ‘해외사례를 통해 본 서울시 차 없는 거리 도입 구상’을 주제로 매주 일요일과 공휴일에 127.69km 도로를 차량 통제하는 보고타시의 ‘시클로비아’와 프랑스 파리시의 ‘차 없는 날’ 확대 계획을 예시로 들며 “보행자 전용거리 프로젝트를 적극 도입할 인간주의적 도시철학을 가진 강력한 지도자가 필요하며 차 없는 거리를 일회성 행사가 아닌 정규 시책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가 좌장으로 이루어진 지정토론에서는 차 없는 거리 도입을 위한 관련 전문가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김광일 녹색교통운동 사무처장은 먼저 차 없는 거리가 시행되어야 한다는 시민들의 인식이 형성되고 난 뒤에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 공간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당위성이 성립된다며 차 없는 거리를 논할 때는 미세먼지,대기오염,온실가스 문제가 같이 이야기 되어야 한다고 발언했다. 덧붙여 차 없는 거리가 시행된다면 교통량 변화, 미세먼지 변화, 사고량 변화, 시민들의 만족도 등 효과 측정을 위한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김지윤 기후변화청년단체(GEYK) 공동대표는 2년 전 ‘차 없는 거리 대학가 확대 적용’ 정책을 제안한 적 있으나 시민들의 의견 보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중요하다는 이유로 거절된 사례를 들며, 시민들의 의견도 중요하게 받아들여져야 하고 동시에 시민들도 의견을 내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규원 한겨레 선임기자는 “현재 서울의 교통정책은 이명박 시장 시대에 머물러 있다”며 서울시의 현상유지와 각 부처의 책임회피는 없어져야 하며 서울 도심 교통정책의 혁신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신우용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최근 노원구에서 주민 민원으로 자전거 도로가 없어질 위기에 처했다”며 “차 없는 거리가 시행되기 위해서는 소수의 노력으로는 이루어지기 힘들기 때문에 구 단위나 동네 단위가 함께 노력하고 움직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신해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시민들이 보행권은 요구하면서도 실제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의 도로는 내놓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하며, 차 없는 거리 시행을 위한 도로 확보 제도화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환경재단 최열 이사장은 “20여년 전에도 차 없는 거리 캠페인을 진행하였지만, 인사동을 제외하고는 이후에 시행이 잘되지 않았다”며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4대문 차 없는 거리에 대한 논의가 많은 시민들과 정계인사들에게 공론화되어 서울시장 후보들의 정책 도입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브라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